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37건)

국립광주박물관 ‘지적공감, 서양미술사 2’ 수강생 모집
국립광주박물관 ‘지적공감, 서양미술사 2’ 수강생 모집- 국립광주박물관, 제34기 광주박물관대학 실시 -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사)국립광주박물관회(회장 이병희)와 공동으로 인문학적 상상력과 예술적 감성을 깨우는 문화강좌인 ‘제34기 광주박물관대학’을 개
억새길 따라 열린 ‘제13회 빛고을문예백일장’ 시상식 가져
서창억새축제에서 백일장에 참가하셨나요?이날 열린 백일장에서 일반부 대상(광주서구청장상)에 김혜윤 씨(금호동)의 ‘오빠의 탯줄’이, 청소년부 대상(광주시교육감상)에 세품기독학교 6년 장유나 학생의 ‘가을이 온다’가 각각 차지했다. 또 별도로 공모전을 통해 사전 접수한 서구마을이야기 부문은 정소진 씨(방림동)의 ‘
눌재 박상의 어머니 이천서씨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 전해 내려오는 눌재 박상과 어머니 이천서씨 부인에 관한 이야기.눌재 박상의 아버지 박지흥은 세조의 왕위 찬탈을 통분해 호남으로 내려왔고, 입암산 산신령의 도움으로 광주에 터를 잡게 되었다. 박지흥이 광주에 터를 잡고 이천서씨(利川徐氏) 부인과 재혼해서 박정(朴禎), 박상(朴祥),
제20회 전국애송시낭송대회 대상 김윤선(광주) 수상
정일근 시인의 ‘날아오르는 산’을 낭송한 광주의 김윤선씨가 제20회 전국애송시낭송대회에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23일 빛고을국악전수관에서 광주광역시 서구청,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이 주최·주관하고 한국문화원연합회, 광주광역시 문인협회가 후원하는 제20회 전국애송시낭송대회는 100여명이 접수하여 예선심사를 거
방납의 폐단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인조 7년
자정전에서 주강을 행할 때 동지사 홍서봉 등이 입시하여 진강한 뒤 방납의 폐단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인조 7년 기사(1629) 3월 19일(을해) 맑음오시(午時)에 상이 자정전(資政殿)에 나아가 주강을 행하였다. 동지사 홍서봉(洪瑞鳳), 특진관 심명세(沈命世), 참찬관 박정(朴炡), 시독관 최혜길(崔惠吉), 검토관 최유해
이신의(李愼義)를 광주 목사(光州牧使)로 삼았다 - 인조 1년
정사가 있었다 - 인조 1년 계해(1623) 10월 17일(갑술) 맑음     정사가 있었다. 유순익(柳舜翼)을 양주 목사(楊州牧使)로, 윤순지(尹順之)를 병조 좌랑으로, 이호신(李好信)을 상주 목사(尙州牧使)로, 이신의(李愼義)를 광주 목사(光州牧使)로, 이성구(李聖求)를 한학 교수(漢學敎授)로, 이항(李沆)을 장
김인후ㆍ유팽로 등의 사액을 청하는 상소 - 영조 32년
옥과 현감 송명흠이 올린 김인후ㆍ유팽로 등의 사액을 청하는 상소 - 영조 32년 병자(1756) 4월 14일(신해)        옥과 현감(玉果縣監) 송명흠(宋明欽)이 상서(上書)하였는데, 대략 이르기를,"<중략>신은 삼가 생각하건대, 김 인후는 높은 자질과 바른 학문으로서 효릉(孝陵)
김동필은 광주 목사(光州牧使)로 삼다 - 경종 3년
이조 참의 이진유가 김동필과 유수원을 외읍으로 척보할 것을 청하다 - 경종 3년 계묘(1723) 2월 23일(계유)       이조 참의(吏曹參議) 이진유(李眞儒)가 청대(請對)하여 아뢰기를,“구명규(具命奎)ㆍ박징빈(朴徵賓)ㆍ김동필(金東弼) 등이 부정(不靖)한 사단(事端)을 야기하여 서로가 배척
광주 서구문화원, ‘의향정신 찾아 떠나는 여행’ 가져
광주 서구문화원은 한국학호남진흥원의 문화원 동행사업으로 23일 광주지역 내 의로움과 의병정신을 간직한 장소들을 방문하고 현장특강을 듣는 등 광주정신의 뿌리를 찾는 답사를 진행했다.이번 답사는 의로움과 당당함으로 한 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에 대한 현장 탐구를 통해 선현들의 용기와 희생이 오늘의 광주 공동체를
이시방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인조 2년
심기원ㆍ이경의ㆍ홍명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인조 2년 갑자(1624) 2월 10일(갑오)        병조 참판 심기원(沈器遠)을 한남 도원수(漢南都元帥)로 삼았는데, 심기원이 박정(朴炡)ㆍ나만갑(羅萬甲)ㆍ이기조(李基祚)를 자벽(自辟)하여 종사관으로 삼았다. 이때 원수(元帥) 장만이
광주 목사 정운호 등을 다 파직시키다 - 인조 1년
제도의 참고관인 광주 목사 정운호 등을 다 파직시키다 - 인조 1년 계해(1623) 9월 24일(신해)        제도의 참고관(參考官)인 광주 목사(光州牧使) 정운호(鄭雲湖), 순천 부사(順天府使) 이상준(李尙俊), 임실 현감(任實縣監) 김녕(金寧), 흥양 현감(興陽縣監) 박정원(朴鼎元), 철
정단(正壇) 32인 - 홍재전서 제60권
정단(正壇) 32인 - 홍재전서 제60권 / 잡저(雜著) 7 : 정조대왕(正祖大王, 1752~1800) 사판(祠版)에는 ‘충신지신(忠臣之神)’이라고 쓰고, 제사의 의식은 축문이 있으며 - 축문은 본릉의 한식절 수향(受香) 때 같이 싸 가지고 감 -, 제품(祭品)은 밥 한 주발, 소탕(素湯) 한 대접, 나물과 과일 각 한 소반, 술 한 잔이고, 제
재조번방지 2(再造藩邦志 二) - 화은(華隱) 신경(申炅1623~1653)
재조번방지 2(再造藩邦志 二) - 화은(華隱) 신경(申炅1623~1653) 이때에 각 도의 군사들이 여기저기에서 벌떼처럼 일어났다. 경기도에서는 본도 감사인 심대(沈岱)ㆍ전 사간 우성전(禹性傳)ㆍ전 정언 정숙하(鄭淑夏)ㆍ수원인(水原人) 최흘(崔屹)ㆍ고양인(高陽人) 이노(李魯)와 이산휘(李山輝)ㆍ전 목사 남언경(南彦經)ㆍ유학
눌재 박상과 우부리 그리고 김숙화
연산군의 말년은 '도가니'였다. 과거로 인재 뽑듯 '흥청과(興淸科)'를 두고 각처 기생을 끌어왔다. 임금을 포기한 '흥청망청'이었다. 애첩의 세도는 가관, 장녹수(張綠水)는 온갖 송사에 간여하여 뇌물 받고 종친 재산까지 빼앗았다.김숙화(淑華)도 만만치 않았다. 논 50결과 한달 갈이 밭을 하사받았다. 요즘 80정보, 24만
주곡(舟谷) 박치화(朴致和)
주곡(舟谷) 박치화(朴致和, 1655~1722)는 찬성공(贊成公) 박지흥으로부터는 8세손이요, 하촌공(荷村公) 박정으로부터는 7세손이다. 박태현(朴台鉉)의 둘째 아들로, 1655년 광주 하동(河洞, 현재 세하동 동하마을)에서 태어났다. ​주곡(舟谷)은 태어날 때부터 영민(英敏)하고 두뇌가 명석(明晳)하여 어린나이에 이미 오경(五
박정휴朴鼎休
朴鼎休(1805~1865)의 자는 元實, 호는 芚皐, 貫鄕은 忠州이다. 그의 현조는 중종 때 端敬王后 愼氏의 복위를 주장하고 충주목사를 지냈으며 문과 중시에 장원급제를 한 눌재 박상朴祥이며, 고조는 再茂, 증조는 師東, 조부는 燧이다. 부친 筠軒 朴孝碩은 원래 조부 燧의 족형인 龍湖堂 褧의 셋째 아들인데, 燧가 일찍
박정휴(朴鼎休)의 『둔고집(芚皐集)』
『芚皐集』은 朴鼎休(1805~1865)의 시문집으로 1913년 박정휴의 손자인 朴用柱 등에 의해 18권 9책의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권말에 고동주(高東柱)와 손자 박용주의 발문이 있다.박용주는 16세기 중엽 호남사림의 대표적이니 인물인 눌재 박상의 후예로서 송준길의 후손인 금곡 송래희의 문인이 되었던 인물이다.권1은
육봉 박우(1476~1547)
박우朴祐(1476~1547)의 본관은 충주. 자는 창방昌邦, 호는 육봉六峰. 박광리朴光理의 중손으로, 할아버지는 박소朴蘇이고, 아버지는 진사 박지흥朴智興이며, 어머니는 서종하徐宗夏의 딸이다.광주 출신으로 1476(성종7년)년 광주시 서구 절골, 불암마을에서 태어났다. 형은 하촌 박정, 눌재 박상이며 아들은 선조시절에 정승
하촌 박정(1467~1498)
하촌(荷村) 박정(朴禎)은 본관은 충주이고 호는 하촌이며 문간공 박상의 형이다. 성종 을사년 나이 18세에 생원에 합격하여 벼슬이 비록 진사에 그쳤으나 탁월한 도학문장과 정대한 성품은 당대 사림의 지표가 되었다.  눌재 박상과 육봉 박우는 하촌의 학문을 이어 받아 대성하였으며 하촌의 셋째 동생 박우의 아
박정
박정지(朴廷芝), 湖節4中-059-2, 光州, 甲子, 林檜倡義-《호남절의록》(1799)임회는 1562년(명종 17)∼1624년(인조 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공직(公直), 호는 관해(觀海). 증좌승지 임정수(林貞秀)의 아들이며, 중부(仲父) 임길수(林吉秀)에게 입양되었다. 정철(鄭澈)의 문인이자 사위이다.1624년(인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